티스토리 뷰
목차
21일부터 순차 지급되는 ‘국민 생활 회복 소비쿠폰’. 최소 15만 원부터 지역·이동 이력에 따라 최대 2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지만, 어디서 신청하고, 어디까지 쓸 수 있는지 여전히 불분명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대형마트·배달앱·교통카드 사용 제한, 수도권⇄농촌 전입 시 추가 지원, 9월 신생아·군 장병 신청 방식 등 궁금증을 모아 민생회복 소비쿠폰 10문 10답으로 정리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놓치지 말고 혜택을 챙기세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란?
행정안전부가 경기 침체로 위축된 지역 소상공인 매출을 돕기 위해 도입한 한시적 소비 촉진 정책입니다.
2025년 6월 18일 기준 국내 거주 국민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거주 지역·인구 감소 지역 여부에 따라 15만 원 ~ 20만 원의 지역 한정 쿠폰(신용·체크카드 캐시백,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으로 지급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10문 10답
Q1. 언제, 어디서 신청하나요?
A. 2025년 7월 21일부터 카드사 홈페이지·앱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은 신용·체크카드 캐시백 방식, 오프라인은 지역사랑상품권·선불카드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Q2. 지급 금액은 얼마인가요?
A. 기본 15만 원입니다. 비수도권 거주자는 3만 원, 농촌 인구감소 지역 84곳 거주자는 5만 원을 추가로 받아 최대 20만 원이 지급됩니다.
Q3. 수도권에서 농촌 인구감소 지역으로 이사했는데 추가로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6월 18일 이후 전입해 전입신고를 완료한 뒤 ‘이의신청’ 절차를 밟으면 5만 원 차액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Q4. 대형마트·편의점 사용이 모두 안 되나요?
A. 대형마트·백화점 직영 매장은 이용 불가입니다. 다만 건물 내부의 소상공인 임대 매장(미용실·약국·꽃집 등)은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편의점은 연매출 30억 원 미만 가맹점만 가능하며, 가능 매장에는 전용 스티커가 붙습니다.
Q5. 키오스크·배달앱·테이블오더 결제는?
A. 대부분의 무인 주문·배달앱 결제는 PG(결제대행)로 처리돼 사용이 제한됩니다. 대신 매장 카드 단말기로 직접 결제하거나, 배달 기사 대면 결제 시 가맹점 단말기를 이용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Q6. 택시·버스·지하철 등 교통수단에 쓸 수 있나요?
A. 개인·법인택시는 차고지·법인 소재지가 쿠폰 사용 지역이고 연매출 30억 원 미만이면 가능(단, 상품권은 가맹 택시만). 버스·지하철은 선불·후불 교통카드 특성상 불가합니다.
Q7. 이미 쿠폰을 받았는데 이사하면 사용 지역을 바꿀 수 있나요?
A. 신용·체크카드 방식은 카드사 앱에서 지역 변경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지역사랑상품권·선불카드로 받은 경우 사용 지역을 바꿀 수 없습니다.
Q8. 9월에 태어난 아기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9월 출생 신생아는 1차 신청 마감일(9월 12일)까지 출생신고를 완료하면 동일 조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Q9. 군 복무 중인데 PX에서 쓰려면?
A. 의무 복무 병사는 ‘국가사랑카드’를 발급받아야 군 전용마트(PX)에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일반 카드는 PX 결제가 불가합니다.
Q10. 기업형 슈퍼나 프랜차이즈 카페도 이용할 수 있나요?
A. 기업형 슈퍼(SSM)는 직영·가맹 모두 제한됩니다. 프랜차이즈 카페·음식점은 개별 매출이 30억 원 미만인 가맹점만 가능하며, 가맹점마다 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로 안내합니다.
🎁 지금 바로 신청하고 지역경제도 살리세요!
거주지 선택만으로 최소 15만 원, 조건 충족 시 최대 20만 원!
아래 버튼을 눌러 온라인 신청 페이지로 이동해 간단히 접수하세요.
'정부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안 하면 손해! 아동수당 완벽 가이드 (자격 · 지급일 · 온라인 접수) (0) | 2025.07.15 |
---|---|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 안내(헬스장, 수영장 공제 대상 확인법) (0) | 2025.07.08 |
2025 부담경감 크레딧(지원대상/사용범위/신청방법) (0) | 2025.07.01 |
문화비 소득공제, 운동해도 세금 돌려받는 시대! (0) | 2025.06.30 |
최대 52만 원 소비쿠폰, 우리 가족도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6.30 |